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elop+㈜/- Comp▼Mar△137

SKT, IoT 전용망 ‘LTE Cat.M1’ 4월 전국 상용화 (LTE M)(출처 : 테크홀릭) (출처 : 테크홀릭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3945) 오는 4월부터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사물인터넷(IoT)의 모세혈관이 흐르게 된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21일 ‘로라(LoRa)’ 망에 이은 또 하나의 IoT 전국망 ‘LTE Cat.M1’ 망의 구축을 완료하고 오는 4월 상용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용화로 SKT는 저전력·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로라망과 함께 완벽한 IoT망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SKT는 지난 2016년 7월 로라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고 이미 구축돼 있던 ‘LTE-M(LTE Cat.1)’망과 함께 하이브리드형 IoT 전국망을 선보인 바 있는데 향후 LTE Cat.M1과 LTE-.. 2018. 2. 23.
'17년 이동통신사 매출 현황 (전년대비), (출처 : 아이티비즈) 출처 : 아이티비즈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908 지난해 이통3사가 거둔 총 매출액은 전년도 51조 2,865억 원보다 3.7% 증가한 53조 1,867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작년 이통3사의 총 영업이익은 전년도 3조 7,222억 원보다 0.5% 증가한 3조 7,386억 원이었고, 순이익은 전년도 2조 9,506억 원보다 27.7% 증가한 총 3조 7,673억 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2017년 연간 매출 17조 5,200억원, 영업이익 1조 5,366억원, 순이익 2조 6,576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미디어·IoT 등 뉴 ICT 기반 신규사업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 2018. 2. 7.
LGU+ 의 드론 시장 공략 가속화 (비행, 해상 드론) (출처 : KINEWS) 출처 : KINEWShttp://www.enuri.com/knowcom/detail.jsp?kbno=686558http://www.enuri.com/knowcom/detail.jsp?kbno=686557 [부산=키뉴스 백연식 기자] LTE 관제 시스템을 적용한 수상 드론을 선보인 LG유플러스가 3년 안에 드론 시장을 장악하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LTE 드론 토탈 서비스를 통해 공공분야에 먼저 진출하고 드론 사업을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모든 것은 한번에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스마트 드론 포탈 서비스를 내세웠다. LG유플러스는 25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송정해수욕장에서 LTE 관제 시스템을 적용한 수상 드론을 시연했다. 또한 벡스코에서 기자간담회를 마련하고 드론 사업에.. 2018. 1. 26.
25%의 역설!…스마트폰 보조금 유명무실? 출처 : ZDNET 출처 : ZDNET(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915094456) 이동통신 3사가 15일부터 선택약정할인율을 25%로 상향하면서 스마트폰 보조금이 사실상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보조금 대신 선택약정으로 가입자가 쏠릴 것이라는 분석과 궤를 같이 한다.​선택약정할인은 단말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 조항에 근거한 제도다. 단말 보조금을 받지 않는 소비자에 대한 차별을 줄이기 위해 ‘지원금(보조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을 해주도록 한 것이며 지난 2014년부터 시행돼 왔다.​그런데 선택약정할인율이 두 차례에 걸쳐 25%까지 상향되면서 다수의 사용자가 보조금보다 이를 선택하는 게 더 유리한 상황으로 변했다.​업계 한.. 2017. 9. 15.
[스포츠경향] ICT 업계 최고 연봉은 SK텔레콤…평균 1억2천만원 출처 : 스포츠 경향 SK텔레콤의 지난해 직원 연봉이 평균 1억200만원으로 국내 ICT 업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텔레콤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1억200만원에 달했다. 전년보다 100만원 늘어난 액수다. 남자 직원은 평균 1억700만원, 여자 직원은 7600만원으로 편차가 컸다. SK텔레콤의 평균 연봉은 국내 전체 기업 중 상위 5위권에 든다. KT의 평균 연봉은 7천600만원으로 재작년보다 약 300만원 늘었다 . 남자는 7700만원, 여자는 6700만원이다. LG유플러스는 평균 7200만원으로 2015년보다 400만원 늘며 증가폭이 통신 3사 중 가장 컸다. 남자 7700만원, 여자는 5200만원이다. 통신 3사 가운데 평균 근속 기간이 .. 2017. 8. 1.
SKT 추격하는 KT·LGU…모바일 내비 경쟁 재점화 (철처 : THE FACT) 출처 : THE FACT, 에누리 SK텔레콤은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이 개발 1년 만에 월 1000만명 이상이 찾는 국민 내비로 성장했다고 20일 밝혔다. 회사는 'T맵'에 음성인식·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를 연내 선보일 계획이다. /SK텔레콤 제공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장을 둘러싼 이동통신사들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SK텔레콤의 'T맵'이 사용자 수 기준 업계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이에 맞서 KT와 LG유플러스는 '내비 동맹'을 구축했다. ◆ 달리는 'T맵', 타사·알뜰폰 사용 고객 200만 명 돌파 SK텔레콤은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이 개방 1년 만에 타 이동통신사 및 알뜰폰 사용자 비율 20%를 돌파하며 월 1000만 이상이 찾는 '국민 내비'로 자리매김.. 2017. 7. 21.
KT, 업무 차량 1만대 2022년까지 전기차로 KT가 2022년까지 업무용 차량 1만여 대를 전기차로 교체한다. KT는 11일 서울 KT 광화문 사옥에서 현대자동차·롯데렌탈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친환경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올해 하반기 영업 현장에 현대자동차 전기차 아이오닉을 1000대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업무용 차량 약 1만대를 전기차로 바꿔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또 KT는 전국 400여 개 사옥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스트럭처를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임헌문 KT 매스총괄 사장은 "3사 간 협력을 통해 충전 인프라 사업을 확대하고 5G 기반 미래형 자동차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광국 현대자동차 국내영업본부장은 "전기차 보급과 인프라 확대를 위해 3사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 2017. 7. 12.
[공유]LG전자, AI 파격 지원 “성과 높은 직원 임원대우” (출처 : 다나와) 출처 : 다나와 LG전자가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인공지능(AI)연구소와 로봇선행연구소를 신설했다. 두 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확실히 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LG전자는 11일 음성인식, 영상인식, 센서인식 등을 연구해 온 ‘인텔리전스연구소’를 AI연구소와 로봇선행연구소로 분리한다고 밝혔다. AI와 로봇 연구 전담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의미다.AI연구소는 우선 제품 사용정보와 날씨 등의 데이터를 통합·관리하는 AI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플랫폼을 통해 AI를 가전제품 모바일 자동차부품 등 LG전자 전 제품 영역에 적용하는 역할을 맡는다. 로봇선행연구소는 지능형 로봇 개발에 집중한다. LG전자는 올해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딥싱큐’ 스마트 가전과 공항 안내 로봇, 청소 로봇 등을 공개하면서.. 2017. 6. 12.
[아시아경제] 2G·3G만 기본료 폐지..이통사는 표정관리, 알뜰폰은 직격탄 출처 : 아시아경제(http://v.media.daum.net/v/20170608084106684) 2G, 3G 가입자 906만명…연 매출 1.2조원↓ 이통사 "다행이지만 기본료 폐지 선례 남겨" 2G·3G 비율 75% 알뜰폰 "추가 도매대가 인하" 문재인 대통령 (사진=아시아경제DB)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가계 통신비 인하 공약인 기본료 폐지가 2세대(G), 3G 요금제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당초 알려진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5500만명의 기본료를 일괄 폐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업계에서는 한숨을 돌리면서도 기본료 폐지라는 선례를 남기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보내고 있다.이개호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위원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기본료 폐지 대상은 2.. 2017. 6. 8.
LF쏘나타 리콜 통보/ 현대차 소명 요구 출처 : 지디넷 현대자동차가 주차 브레이크 점등 결함으로 정부로부터 LF쏘나타 등 3개 차종의 자발적 리콜을 요구받았다. 현대차는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사안인지 확인해야 한다며 소명 기회를 요구했다. 26일 국토교통부와 현대차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전날 현대차에 "LF쏘나타 계기판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이 제대로 들어오지 않아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풀지 않은 채 주행할 우려가 있다"며 리콜을 권고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소명할 기회를 달라는 입장을 국토부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리콜을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면서 "청문이라는 최종 절차를 통해 해당 사안이 안전과 관련된 문제인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LF쏘나타(사진=현대차) 국토부는 앞서 지난달.. 2017. 4. 27.
통신사 주파수 대역 정리 (LTE, EVDO, 한국, 미국) 1. 전체 밴드 2. 한국 LTE BAND 3. 미국 LTE BAND 2017. 3. 15.
O2O 사업 본격 시동 건 카카오 출처 : 조선비즈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12/2016071203153.html 카카오가 올해 5월 O2O(Online to Offline·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수익 사업으로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인 ‘카카오드라이버’를 선보인 데 이어 12일 두 번째 수익 사업으로 모바일 미용실 예약 서비스인 ‘카카오헤어샵’을 정식 출시했다. 지속적으로 새로운 O2O 서비스를 내놓는 카카오에 대해 전문가들은 카카오의 O2O 서비스가 수익 창출로 이어지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유보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카카오 (95,500원▲ 500 0.53%)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제시하고 출시한 O2O 서비스는 지난해 선보인 ‘카카오택시’와 올해 내놓은 ‘카.. 2016.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