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이러스 더이상 무서워하지 마세요!! 2090바이러스 파해치기 !!~
2090 바이러스는 Win32/AimBot.worm.15872 , V.WOM.Aimbot.CC등으로 명명되었으나, 일반 누리꾼들 사이에는 컴퓨터 시간을 2090년으로 바꾸는 증상을 따, '2090 바이러스'라고 알려진 이 바이러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오토런 취약점을 이용해 외장 저장 장치등을 통해 전염되는 웜 바이러스이다. 한국 표준시 기준으로 2009년 2월 9일 처음 보고되었으며, 2009년 2월 7일 부터 감염 활동 시작으로 추정되는 컴퓨터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는 윈도의 취약점을 이용한 바이러스라고 마이크로소프트 사(社)는 밝혔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대한민국 지역의 컴퓨터에서 감염 보고가 있으며, 제작국은 아직 불분명하다. 한편, 누리꾼들에 의해 이 악성코드의 위험이 과장되었다는 의견이 있다.
증상
- 컴퓨터의 시간을 2090년 1월 1일 오전 10시로 변경한다.
- 윈도우 폴더내의 하위폴더인 System32 폴더에 임의의 7자리의 숫자로 된 악성코드 복사본 파일, 사용자 계정 폴더의 Local Settings 폴더의 하위폴더인 Temp 폴더에는 임의의 5자리의 숫자로 된 확장자 sys의 파일을 생성한다.
- 기능 수행을 위해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컴퓨터의 동작이 중단 될 수 있다.
- 드라이버 충돌로 인한 블루스크린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 부팅 후 자동 실행이 되기위해 레지스트리 키 값을 등록한다. 일부 시스템에서 등록이나 등록 후 정상적인 인식을 하지 못하거나 버그로 인해 로그온/로그오프를 반복하기도 한다. 주로 윈도XP의 서비스 팩 3이 설치된 시스템 중 일부에서 해당 현상이 일어난다고 알려져있다.
- 특정 IRC 채널에 접속, 방장이 내리는 명령에 따라 다양한 악의적 기능을 수행한다.
누리꾼들 사이에서 바이오스 상주와 포맷 후에도 제거되지 않는다는 루머가 있으나, 이 악성코드의 감염 경로를 통한 재감염 인해 발생하는 오해다
감염 경로
- 관련 취약점: MS08-067, RPC DCOM(MS03-039)
- 외부로 부터 들어온 악성코드의 복사본(해당 악성코드는 감염형이 아니고 스스로 전파하는 것도 아니라고 알려짐)의 실행
- 오토런(자동 실행)을 악용, 네트워크 드라이브 또는 USB 플래시 메모리, 외장 하드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를 통해 감염되고 확산되는데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를 해야한다. 오토런을 사용 안하는 방식으로 직접 실행이 없는 한 방어가 가능하다.
치료 및 예방법
- 취약점인 KB958644 (MS08-067)를 패치한다.
- 침입 경로인 445 포트를 차단한다.
- 치료하였더라도, 다시 감염되지 않기 위해서는 백신과 방화벽 사용을 권장한다.
- 외부 저장 장치의 자동 실행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
- 전용백신을 다운받아서 치료한다.
전용백신
안철수 바이러스 전용백신 (확장자를 v3.jpg 에서->v3.exe 로 변경해주세요)
반응형
'Single Smile Zone > - TodayFoc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환 추기경... 그에 행보와.. 마지막 모습 (0) | 2009.02.17 |
---|---|
13세아빠, `좋은 아버지가 되고 싶어요` (0) | 2009.02.15 |
`호주화재` 정쟁 멈추고 조기 게양한 의사당!! 아내 실종 전하며 울먹이는 리포터 !! (0) | 2009.02.10 |
강호순 얼굴공개.. 과연 어떻게 받아들여야 될까? 군포 여대생 살인사건 범인공개 (5) | 2009.02.03 |
군포 여대생 살인사건 범인 강호순 얼굴 공개하다. 공익을 위한 결정 -중앙일보- (0) | 2009.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