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정보처리과정
1) 기호화과정
(1) 정보를 수용하고, 이를 보다 일반적인 분류특성에 따라 추상화하고, 이에 대한 기억흔적을 남기는 과정
(2) 분류체계와 같이 인간이 정보를 기호화시키는 방법은 후에 이 정보를 재생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됨
(3) 정보를 마구잡이로 분류 또는 분류하지 않은 채 보관하게 되면 필요시에 이 정보를 찾아 활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4) 기억에 대한 연구결과
- 기호화 과정에서 정보가 변형되고 다른 것으로 대치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고 하였다. 외부환경의 자극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수용하여 기억흔적을 남기는 과정이라기보다는 이 자극을 능동적으로 의미있게 재조정하고 변형시키는 과정
- 기억에 관한 연구에서는 무의미한 내용을 쉽게 망각하는 반면 의미 있는 내용의 자료는 비교적 쉽게 잘 기억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때문에 인간은 일반적으로 기호화과정에서 주어진 자료를 수동적으로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보다 일반적인 사상을 추출하고 이를 기억하려고 한다.
2) 기억의 저장
(1) 정보를 수용하여 체계적으로 저장해 두는 것
(2) 서랍을 정리 정돈하듯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됨
(3)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기호화과정, 저장과정 및 기억재생의 과정이 비교적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으나, 실증적인 연구에서는 이를 실제적으로 구분 짓지 못하고 있다.
(4) 실제적으로는 이들 세 과정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어떤 하나의 과정만을 엄밀히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이 어려움
3) 기억의 재생
(1) 기억의 재생과정은 사무실의 서류 분류함에서 필요한 자료를 찾는 과정에 비유됨
(2) 기억재생에서의 실패 이유
- 정보처리과정의 여러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 잘못이 있다고 봄
- 기호화의 과정에서 의미의 부여 또는 분류가 잘못되었거나 저장과정에서 잘못 저장했거나 또는 재생과정에 적절한 암시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임
4) 이론적 접근
(1) 아트킨슨 - 쉬프린의 기억모형
- 기억의 과정을 i. 감각 기관등재, ii. 단기기억, iii. 장기기억의 세 가지 구조로 분리, 설명
① 구조
- 유입되는 정보는 일차적으로 감각기에 등재됨
- 여기서 몇 초간 머물다 곧 사라져 없어지게 됨
- 정보는 여기서 최소로 조작, 처리되어 선택적으로 단기기억과정으로 이전함
- 단기기억은 바로 인간이 사고하는데 쓰이는 기억임
- 단기기억은 감각기관에 등재된 정보나 장기기억 속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사용하게 됨
- 단기기억과정에서 저장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30초 이내에 완전히 망각하게 됨
- 재연과정을 거쳐 장기기억으로 옮겨 가게 됨
② 단기기억
- 아트킨슨과 쉬프린에 의하면 단기기억이 기억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고 한다.
- 기억체제 내에서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지배하는 것이 단기기억이다
- 외부환경자극은 거의 모두 감각기관에 등재되나, 등재된 정보가 모두 단기기억으로 유입되지는 않음
- 정보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기능의 역할, 사고기능이란 실제적으로 정보를 조작하고 사고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함
- 외부로부터 정보자극을 적절하게 통제하므로 기억과정에 한꺼번에 너무 많은 정보가 유입되어 야기되는 혼란을 사전에 예방함
③ 재연장치
- 인간이 어떤 사상을 장기적으로 기억하려고 할 때는 재연의 과정을 거친다고 함
-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정보가 이전되기 위해서는 그 정보를 재연(암송)해야 한다고 함
- 단기기억과정은 일시적으로 한정된 수(보통은 7±2개)의 정보밖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정보를 암송 또는 재연하지 않으면 이 정보가 장기기억과정으로 이전되지 못하고 단기과정에서 사라지게 됨
- 일정 시간에 여러 개의 숫자를 제공해도 일정한 숫자밖에 재생하지 못하는 것은 단기기억과 정의 한계성 때문임
- 재연과정에서 암송의 시간이 길면 길수록 일반적으로 장기기억과정에서 잘 기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④ 통제체제
- 세 단계에 걸쳐서 일어나는 정보철과정은 인간의 내적 구조에 의해서 강하게 통제 운영된다는 것임
- 인간은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모든 자극을 그냥 받아들여 감각기관에 등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내적 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 또한 그의 내적 구조에 의해 서로 다르게 해석한다는 것임
(2) 크레이크-로카르트의 기억모형
- 정보처리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정보처리과정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설명함
-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이 분명하게 구별된다는 점을 부정, 그러나 지금 당장 받아들인 기억과 오래 전에 받아들인 기억 사이에는 서로 다른 측면이 있다는 것을 인정, 일차적 기억(단기기억에 비유)과 이차적 기억(장기 기억에 비유)을 구분함
- 크레이크와 로카르트의 모형은 근본적으로 지각이론에 기초를 둠
- 어떤 자극은 초기의 분석과 처리만 하게 되는 것도 있지만 어떤 자극은 아주 깊은 수준의 분석과 처리를 하게 됨
- 크레이크와 로카르트에 의하면 기억은 이 정보처리수준에 비례한다고 함
- 물리적 분석과 처리 수준에 머문 정보는 인간의 기억과정에 깊은 흔적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쉽게 망각되어 버림
- 깊은 수준의 정보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면 기억과정에 깊은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잘 망각되지 않고 필요시에 용이하게 재생됨
* 정보처리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① 자극의 특성
자극이 일반적으로 의미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빅적 쉽게 깊은 수준의 정보처리과정이 이루어진다는 것
② 자극에 대한 관심과 흥미의 정도
어떤 개인에게 관심과 흥미를 끄는 자극에 보다 깊은 주의를 쉽게 경주하게 되고 보다 깊이있는 수준의 처리를 한다고 함
③ 주어진 정보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어떤 특정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시간이 요구됨
우리에게 생소하거나 내포된 의미가 복잡한 것일수록 그 정보를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
이 정보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갖지 못하면 깊은 수준의 정보처리를 충분히 할 수 없음
*크레이크와 로카르트의 모형
- 무의미한 철자의 암기가 왜 문장을 암기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가를 쉽게 설명
*아트킨슨과 쉬프린의 모형
- 일시에 여러 개의 정보가 주어지면 왜 이들을 모두 기억할 수 없는가에 대해서 보다 쉽게 설명
II. 망각
-망각에 관한 세 이론: 소멸이론, 간섭이론, 단서-의존 망각 이론
1) 소멸이론
- 소멸이론에 의하면 망각은 정보를 기억하는 순간부터 야기됨
- 학습은 중추신경계통을 변형시켜 특정 정보를 수용하게 되는데 이 정보를 계속 사용하지 않으면 이 정보는 약화되고 결국에는 망실된다는 것
- 빛 바랜 사진처럼 희미해지게 된다는 것
(1) 망각 이론의 흐름
- 소멸이론이 아주 오래 전부터 주장되어 왔음
- 1920년대에 들어 간섭이론에 관한 연구결과로 그 명성을 잃었음
- 젠킨스와 달렌바하(jenkins & Dallenbach, 1924)의 연구 - 인간이 기억한 정보는 잠을 잘 때보다는 깨어있을 때 보다 많이 망각한다는 사실을 밝힘. 소멸이론에 의하면 잠을 자고 있는 동안에도 깨어있을 때와 독같이 망각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깨어있을 때 보다 많이 망각한다는 것이 간섭의 효과라는 것
- 최근 간섭효과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망각이 야기된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이 이론이 다시 대두하고 있음
2) 간섭이론
- 보다 많은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재생단서에 연계되면 이 재생단서의 효율성이 감소되어 기억이 재생할 수 없다는 것
- 이 이론은 재생단서의 효율성이 감소되는 원인을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
- 재생단서에 의한 반응 간의 경쟁 : 어떤 단서가 주어졌을 때 여러 가지의 정보가 얽혀 있어 어느 것이 보다 적절한 반응인지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결과
① 언러닝(unlearning) :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이미 학습한 것을 잊어버리는 데서 오는 결과
간섭효과의 두 가지 유형
② 역행간섭 : 새로이 기억한 것이 이미 기억한 정보의 재생을 방해하는 현상
③ 순행간섭 : 이미 기억한 정보가 새로이 기억하려는 정보를 방해하는 현상
3) 단서-의존 망각
- 이 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기억이란 두 가지의 전혀 다른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봄
- 외적인 정보를 수용하여 인간의 저장용기 어디에서 저장시켜 흔적을 남기는 과정
- 적절한 단서를 제공하여 정보를 끄집어내는 과정
- 우리가 기억한 어떤 정보를 기억하지 못한다면 이것은 그 정보가 우리의 기억저장창고에 없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단서가 주어지지 않아 우리가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 이 때문에 결국은 우리가 어떤 정보를 망각한 것으로 나타나나 실제로는 망각한 것이 아니라 재생하지 못하는 것임
III. 기억방법
1) 의미화 :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정보가 되도록 한다
-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새로운 정보를 이해할 수 있을 때에만 이 정보가 학습자에게 의미있게 받아들여짐
-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관련시킴으로써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학습자 자신들도 의미있는 행동, 사건 또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될 때,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거의 유사한 경험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외부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일깨워진다고 함
2) 재연 : 다양한 방법으로 시연하도록 함
- 재연은 정보의 저장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
- 재연방법은 각 개인마다 다양한 특색을 지니고 있음 → 재연시기, 방법 또는 재연의 내용은 각 개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재연방법의 차에 따라서 기억량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다스(Das, 1978)의 지도학습에 관한 연구
- 지도에 담긴 내용을 암기하는 데는 전체적으로 암기하는 방법, 부분적으로 암기하는 방법, 중요한 것을 먼저 암기하고 세부적인 것을 나중에 암기하는 방법 등이 있음
- 이들 방법은 각 개인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이 방법에 따라 암기량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함
- 이 재연방법상의 차이는 각 연령단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르게 나타남
3) 시각적 영상
- 시각적으로 영상화하는 것이 기억을 크게 증진시킴
- 우리 주변에서도 어떤 문장을 읽을 때 이 내용을 시각적 영상으로 그려보면 그 내용을 암기하는데 크게 도움이 됨
- 로위와 해리스(Rohwer & herris, 1975)의 연구
문장만을 제시하고 암기시키는 것보다 문장과 그림을 같이 주고 문장의 내용을 암기시키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
-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에게도 다만 글을 읽고 그 문장의 내용을 머릿속에 그림으로 그려보라는 지시만으로도 학습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
- 시각적 영상화의 방법
① 위치법 : 이미 잘 알고 있는 공간적 영상에 새로이 암기하여야 할 것들을 연결시켜 암기하는 방법
② 핵심 단어법 : 어떤 단어의 중심이 되는 면을 영상화하여 암기하는 방법
4) 조직화 : 주어진 자료를 잘게 분석하여 의미있게 재분류하고 조직하는 방법
5) 기억전략의 결핍
(1) 전략 결핍 (기억전략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
① 중개 결핍 : 기억전략을 시범 보이고 연습 시켜도 학생 스스로 기억 전략을 사용할 줄 모르는 것
② 효율성 결핍 : 학생들이 전략을 습득하여 자발적으로 사용할지라도 아직은 기억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상태
③ 자발적활용 결핍 : 활용할 능력도 있고 사용하면 실제로 기억이 증가하는 효과도 있으나 자발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태
6) 기억전략의 발달
* 전략선택모형 : 여러 가지 기법이 동시에 모두 사용되되 서로 경쟁하여 가장 좋은 기법이 선택된다. - Segler(1987)
* 기억전략의 발달 : (사용 시기에 따라) 저장전략, 회상전략
① 암 송 : 정보를 내적으로 반복하거나, 소리 내어 반복해서 기억흔적을 단기기억에 유지시켜 주는 방법.
② 조 직 : 자료의 조직방법 -요점파악하기, 표, 차트 등 그래픽으로 조직, 개념간 관계지도 작성하기
③ 정교화 : 기억할 항목의 의미나 연관성을 찾아 심상, 문장, 단어의 형태로 서로 연결시키는 기억방법
④ 기억술 : 운율법, 두문자법, 연상법, 핵심단어법, 장소법, 못걸이법
⑤ 보조수단 활용의 발달
⑥ 교재 학습전략 : 요점파악, 요약하기, 노트필기, 밑줄긋기, 진하게 표시하기, 자기말로 옮기기, 추리하기, 부수질문하기, 자문-자답하기, SQ3R, PQ4R
* SQ3R(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
* PQ4R(Preview, Question, Read, Reflect, Recite, Review)
7) 회상전략의 발달
회상단서의 활용은 취학 전부터 발달하지만 어릴수록 그 정도가 약하다. (Schneider & Sodian) → 어릴수록 회상을 위한 정보원의 활용과 탐색이 부족
8) 기억의 영향요인
정신적 노력의 효율적 사용, 배경지식, 저장전략, 회상전략, 상위기억, 동기, 지능
IV. 기억력 테스트
1) 단어 말하기 테스트
(1) A가 먼저 단어 3개를 말하고 나면 바로 B가 단어 3개를 말한다.
예) A : 바다 - 장난감 - 양말
B : 토마토 - 가방 - 이슬
(2) A가 C을 지목한 후 방금 전에 본인이 말한 단어를 시킨 후 B가 말한 단어를 시킨다.
(3) 정답은 A or B가 바로바로 확인!!
(4) 테스트 실시 후 어떻게 외웠는지 물어본다.
※ 이 테스트는 누가 무슨 말을 했는지 모두 기억하는 테스트이므로 단어의 배열에는 상관없다.
2) N-BACK 테스트
: 모니터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제시된 도형이 나올 때 박수를 친다. 각 도형들은 2초 간격으로 총 30개의 도형이 제시된다.
(1) <1-back > “한 단계 전 도형이 나오면 박수를 친다!”
△ □ □ △ ○ □ △ □ ○ ○ ○ △ □ △ △
(2) N-BACK 테스트 진행 방법 : 모두 자리에 앉아서 진행
화면에 도형이 하나씩 나온다. (2초 간격으로 총 30개의 도형 제시)
<2-back> 조금 전 풀어 본 연습문제보다 난이도가 높은 문제 :
“두 단계 전 도형이 나오면 박수를 친다!”
예) △ □ □ △ ○ □ △ □ ○ ○ ○ △ □ △ △
※ 이 테스트에는 앞의 내용을 기억해서 적재적소에 꺼내 과제를 수행하는 워킹메모리 능력과 더불어 시각 기억력이 필요하므로 시각 기억력을 확인해보는 테스트이다.
3. 기억력 증진 트레이닝
1) 달력기억하기
(1) 12개(1월~12월)의 달력 그림이 순서대로 뜬다. 도우미가 달력 그림과 전혀 연관 없는 단어(그림의 제목)를 붙여 불러준다. 이 때, 트레이닝자는 달력그림과 단어(그림의 제목)를 집중해서 듣고 기억한다.
예) 이 그림의 제목은 “기쁨” 입니다.
이 그림의 제목은 “사랑” 입니다...
(2) 12개의 달력 그림과 단어(그림의 제목)가 모두 제시된 후, 대형모니터에 12개의 달력 그림이 하나 씩 랜덤으로 나온다. 도우미가 달력 그림이 바뀔 때마다 달력 그림의 제목을 묻는다. 이 때, 달력의 그림과 연관 지어진 단어(그림의 제목)를 말하면 된다.
예1) 이 그림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예2) 12단 콤보 도전
2) 카드 짝 맞추기
(1) 안대를 쓰거나 눈을 가리고 카드를 섞는다.
(2) 트레이닝 참가자는 제한시간 60초 동안 카드를 외운다.
(3) 카드를 뒷면으로 뒤집는다.
(4) 트레이닝 참가자는 제한시간 60초 동안 카드를 찾는다. ※이 때 뒤집는 횟수 세고 시간 확인
(5) 트레이닝 참가자는 카드의 모든 짝을 다 찾을 때까지 계속 진행한다. 모든 짝을 다 찾기까지 몇 초가 걸렸는지, 몇 회 만에 성공했는지 확인한다.
'Human Dictionary > -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지식-심리학 이론 모음 (0) | 2009.05.12 |
---|---|
인지 영역 용어 해설 (0) | 2009.04.06 |
집단상담의 의의와 장점, 단점, 고려사항.. ^^ (0) | 2009.02.23 |
다양한 상담이론 1-2 (Freud의 정신분석, Berne의 상호교류분석, 실존주의 상담이론) (0) | 2009.02.20 |
다양한 상담이론 1-1 (윌리암손 Williamson, 로저스 Rogers, 엘리스 Ellis) (0) | 2009.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