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Information/- ♤ 한식 Recipe

엄마에게 배우는 추억의 간식 레시피

by JoyKim 2009. 1. 30.
반응형



클릭하면 크게 보여요!

1 수정과

재료

생강 100g, 계피 30g, 흑설탕 2컵, 소금 1/2작은술, 곶감10개, 잣 적당량, 물 20컵
만들기
1 생강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썬 후 물 10컵을 부어 충분히 끓인다.
2 계피는 안쪽의 먼지까지 깨끗이 씻어 물 10컵을 붓고 충분히 끓인다.
3 ①과 ②를 각각 체에 밭친 뒤 국물을 합쳐 흑설탕과 소금을 넣고 다시 한 번 끓여 식힌다.
4 곶감은 씨를 뺀 후 곶감이 잠기도록 ③의 국물을 부어 하룻밤 재운다.
5 ③을 그릇에 담고 ④의 곶감을 담은 후 잣을 띄워 낸다.

2 카스텔라

재료

우리 밀가루 125g, 설탕 130g, 달걀 5개, 우유·포도씨유 2큰술씩, 꿀 1큰술
만들기
1 밀가루는 체에 세 번 이상 쳐서 내린다.
2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로 분리한다. 흰자에 설탕 75g을 두세 번에 나누어 넣으면서 거품기로 저어 단단히 거품을 낸다.
3 다른 볼에 노른자와 따뜻한 우유, 꿀을 넣고 나머지 설탕을 나누어 넣으면서 뿌연 색이 나도록 거품을 낸다. 4 ③에 ②를 세 번에 나누어 넣으면서 거품이 꺼지지 않도록 살살 섞는다.
5 작은 볼에 포도씨유를 넣고 ④를 조금씩 넣어가며 살살 섞는다.
6 ⑤에 ①을 넣고 실리콘 주걱으로 살살 섞는다.
7 신문지로 접은 사각 틀 안에 유산지를 깔고 반죽을 부어 윗면을 편편하게 한다.
8 180℃로 예열한 오븐에 컨벡스 기능으로 25분 정도 굽는다(꼬치로 찔러보아 반죽이 묻어 나오지 않으면 다 익은 것). 윗면 색이 너무 진하면 중간에 알루미늄 포일을 덮는다.

3 김치말이밥

재료

배추김치 국물·멸치 국물 3컵씩, 매실청 1큰술,
송송 썬 배추김치 2컵 분량, 채 썬 동치미 무 1컵, 밥 4공기, 참기름·깨소금 적당량, 구운 김 부순 것 1컵
배추김치 양념-참기름·깨소금 1큰술씩, 설탕 1작은술
만들기
1 배추김치 국물을 체에 거른 뒤 멸치 국물과 매실청을 섞어 냉동실에 살짝 얼린다.
2 배추김치는 소를 털어내고 송송 썰어 참기름과 깨소금, 설탕을 넣어 무친다.
3 그릇에 밥을 1공기씩 담고 ②를 올린다.
4 먹기 직전에 살짝 언 김치 국물을 붓고 채 썬 동치미 무를 올린 뒤 참기름과 깨소금을 뿌리고 김 부순 것을 올린다.

1 무나물 넣은 메밀전병

재료

무나물-무채 600g, 채 썬 쇠고기 50g, 들기름 2큰술, 액젓·다진 파·깨소금 1큰술씩, 소금·다진 마늘·생강즙 1/2작은술씩, 양지머리 육수 1/2컵, 참기름 1작은술
쇠고기 양념-간장·다진 파·참기름 1작은술씩, 다진 마늘·설탕 1/2작은술씩, 후춧가루 약간 메밀전병-메밀가루 1컵, 멥쌀가루 1/2컵, 북어 머리 국물 4컵, 소금 1/2작은술, 들기름·식용유 적당량
만들기
1 쇠고기는 분량의 양념으로 무친다.
2 달군 팬에 ①을 볶다가 들기름을 넣고 무채를 볶는다. 액젓과 소금, 다진 파, 다진 마늘, 생강즙을 넣고 볶다가 양지머리 육수를 넣고 익힌다. 마지막에 참기름을 넣고 볶다가 깨소금을 뿌린다.
3 메밀가루에 멥쌀가루를 합한 후 분량의 북어 머리 국물과 소금을 넣어 고루 섞는다. 반죽을 하룻밤 재워두면 찰기가 생겨 부치기 쉽다.
4 프라이팬에 들기름과 식용유를 두르고 ③을 한 국자 퍼 넣고 고루 펴 얇게 부친다.
5 ④의 메밀전병에 ②의 무나물을 고르게 펴놓고 돌돌 만다.

2 알타리무동치미

재료

알타리무 4kg(2단), 배 1개, 쪽파·갓·삭힌 풋고추 200g씩, 마른 고추 5개, 통마늘 80g, 통생강 30g, 소금 80g, 매실청 1컵
소금물-굵은소금 400g, 물 4L
후양념-배즙 2컵, 무즙 4컵, 물 5L, 소금 80g
만들기
1 알이 작고 단단하며 무청이 싱싱하게 달린 알타리무를 골라 잔털을 떼고 솔로 말끔히 씻는다.
2 손질한 알타리무를 소금물에 4시간 절인 후 깨끗이 헹궈 물기를 뺀다.
3 김치를 담아놓을 항아리에 절인 알타리무와 껍질째 반으로 자른 배, 쪽파, 갓, 삭힌 풋고추, 마른 고추, 마늘, 생강을 넣고 소금과 매실청을 뿌린 후 하루 정도 절인다.
4 하루 지난 후에 배즙과 무즙, 물을 섞고 소금으로 간한 뒤 ③에 부어 익힌다.

3 간장떡볶이

재료

가래떡 500g, 당근 40g, 양파 100g, 피망 1/2개, 느타리버섯 1팩, 쇠고기·불린 표고버섯 100g씩, 간장·꿀·참기름 1큰술씩, 후춧가루 약간, 양지머리 육수(또는 북어 머리 국물) 1컵
가래떡 양념-참기름 1/2큰술, 간장 1작은술
재움장-간장·다진 파·참기름 1큰술씩, 설탕·다진 마늘·깨소금 1/2큰술씩,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1 굳은 가래떡은 끓는 물에 데쳐 부드러워지면 가래떡 양념에 버무린다.
2 당근과 양파, 피망은 적당한 크기로 썰고, 느타리버섯은 살짝 데쳐 찢은 뒤 물기를 뺀다.
3 쇠고기와 불린 표고버섯은 적당한 크기로 썰어 분량의 재움장을 넣고 버무린다.
4 팬을 달궈 쇠고기와 표고버섯을 먼저 볶다가 ②의 채소를 모두 넣어 볶는다.
5 ④에 ①과 간장, 꿀, 참기름, 후춧가루를 넣어 볶다가 양지머리 육수를 부어 익힌다.

1 안동식혜

재료

엿기름 600g, 고운 고춧가루 1컵, 멥쌀·찹쌀 2컵씩, 나박나박 썬 무 800g, 생강채 150g, 밤채 80g, 설탕 3컵, 배 1개, 물 3컵
만들기
1 엿기름을 자루에 넣고 큰 볼에 담은 뒤 물 3컵을 붓고 주물러 3~4시간 담갔다가 윗물만 따라낸다.
2 자루에 고운 고춧가루를 넣고 잘 묶은 후 ①을 조금 넣고 조물조물 주물러 고춧물을 만든다.
3 멥쌀과 찹쌀을 섞어 고슬고슬하게 밥을 짓는다.
4 밥에 무와 생강채, 밤채를 넣고 ②를 부어 고춧물을 들인다.
5 전기밥통에 ④를 담고 ①의 국물을 부은 후 설탕을 넣고 고루 젓는다.
6 보온 상태에서 6시간 정도 지나 밥알이 위로 뜨면 완성된 것이다. 일반 식혜와 달리 다시 한 번 끓일 필요가 없으니 식혀서 냉장고에 보관한다.
7 배는 만 곱게 채쳐 먹기 직전에 섞어 먹는다.

2 팥죽

재료

팥 2컵, 불린 멥쌀 2컵, 소금·꿀 적당량, 물 15컵
새알심-찹쌀가루 2컵, 생강즙·소금 1/2작은술씩, 팥 삶은 뜨거운 물 1/3컵, 녹말가루 약간
만들기
1 팥은 깨끗이 씻은 뒤 조리로 일어 체에 밭여 물기를 뺀다.
2 ①에 물 4컵을 붓고 뚜껑을 연 채 삶다가 푸르르 끓어오르면 체에 밭친다.
3 ②의 팥에 물 10컵을 넣고 팥알이 터질 때까지 푹 끓인다.
4 푹 무른 팥에 나머지 물 1컵을 부어가며 고운체에 거르고 껍질은 버린다.
5 ④를 깊이가 있는 그릇에 부어 앙금을 가라앉힌다.
6 찹쌀가루에 생강즙, 소금, 팥 삶은 물을 넣어 익반죽한 후 지름 1cm의 새알심을 만들어 녹말가루를 묻힌다. 7 솥에 ⑤의 웃물을 끓이다가 불린 멥쌀을 넣어 푹 퍼지도록 끓인다.
8 쌀알이 푹 퍼지면 ⑤의 가라앉은 앙금을 넣어 저으면서 충분히 끓인다.
9 ⑧에 새알심을 녹말가루를 털어 넣고 끓이다가 새알심이 떠오르면 다 익은 것이다.
10 소금과 꿀을 곁들여 낸다

3메밀묵김치무침

재료

메밀묵 1모, 송송 썬 김치 300g, 들기름·깨소금 1큰술씩, 매실청 1/2큰술
만들기
1 메밀묵은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가지런히 담는다.
2 김치는 소를 털어내고 송송 썰어 분량의 양념으로 조물조물 무친다. 3 메밀묵 옆에 ②를 곁들여 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