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M broadcast band
주파수 대역 : 535 ~ 1605 kHz
응용분야 : 현재 AM radio 주파수로 사용됨.
특성 :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장거리 전파전송이 용이함
2. FM broadcast band
주파수 대역 : 88 ~ 108MHz
응용분야 : FM radio 주파수로 사용됨
특성 : AM에 비하여 넓은 대역의 channel을 갖을 수 있어서 방송간 간섭이 적음.
3. TV
주파수 대역 : 54 ~ 890MHz
( 54 ~ 72MHz :VHF TV (2 ~ 4)
76 ~ 88MHz : VHF TV (5 ~ 6)
174 ~ 216MHz : UHF TV (7 ~ 13)
470 ~ 890MHz : UHF TV (14 ~ 83))
응용분야 : TV 공중파 방송용으로 할당되어 있음.
특성 : 방송용 주파수는 방송국마다 6MHz의 영상신호와 1MHz 정도의 음성신호로 구성되어 있음. 예를 들면 언급한 76 ~ 88MHz : VHF TV (5 ~ 6)의 경우, channel 6의 경우 우리나라는 sbs 및 지역민방에 할당되어 있는데 88MHz 근처이므로 88MHz 근처에는 sbs의 음성신호가, 그 앞의 82 ~ 88MHz 에는 sbs의 영상신호가 존재함...그러므로 86MHz까지 전파를 잡을 수 있는 라디오(일제가 주로 가능)로 들으면 sbs TV 방송을 소리만 들을 수 있음.
4. Handset
좀 복잡하니까 주파수 별로 나누어서 설명을 하도록 하지요.
(1) 450MHz
응용분야 : 동유럽, 인도 및 러시아 등 저개발 & 넓은 영토를 가진 국가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특성 : 현재 국내 또는 미주 및 서유럽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전송 거리가 넓기 때문에 하나의 기지국이 cover하는 범위가 넓음. 기본 infra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에 유용하기 때문에 채택됨.
(2) L-band
주파수 대역 : 1~ 2GHz
응용분야 : 현재 SK Telecom (900MHz)과 LG 및 KTF(1.8GHz)에서 handphone application용으로 사용되고 있음
특성 : SK Telecom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LG 또는 KTF의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기지국수를 적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3) GPS
주파수 대역 : 1.2GHz
응용분야 : Handset에 내장된 GPS function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임. 저잡음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음
(4) RFID
주파수 대역 : 13MHz & 900MHz
응용분야 :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화 된 것은 13MHz에 해당하는 제품들이며, 방송 등에서 최근 이슈화 되어 개발에 몰두하는 것이 900MHz 대역을 사용하게 될 RFID 3rd generation을 의미함.
특성 : 어떠한 방식 (Inductive or Backscatter)이냐에 따라서 금속 등에 흡수되는 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음. 주로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저전력 system으로 구성됨.
5. S-band
주파수 대역 : 2 ~ 4GHz
(1) DMB
주파수 : 2.36GHz ( end user ), 13.5GHz ( broadcasting company)
응용분야 : 위성 DMB용으로 상용화가 되고 있음.
특성 : 유사 대역내에 공중파용으로 상용화된 주파수 대역이 없는 관계로 타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간섭에 관한 이점을 지니고 있음.
(2) ISM band
주파수 : 2.4GHz
응용분야 : 현재까지는 1세대 WLAN 및 Bluetooth용으로 사용됨.
특성 : 고주파로서의 기본 특성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자체로는 특별한 특성이 없음. 다만 주파수 대역이 ISM band이기 때문에 WLAN 과 Bluetooth 두 가지 application system이 존재하여 상호 간섭 및 방해로 고유의 전파 전송특성들을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
6. C-band
주파수대역 : 4 ~ 8GHz
응용분야 :
(1) 5GHz 대역 : WLAN
주로 3세대 wlan application 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일본 및 대만 등에서는 ITS(일명 high pass라고 하여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정지하지 않고 그냥 지나가도 요금이 자동 처리되는 system을 의미) 주파수로도 응용되고 있음.
(2) 4GHz 대역 :
상용화보다는 주로 군사목적용 및 차세대 신개념 통신방식에 응용됨. 현재 국가에서 새로운 개념의 통신방식용으로 국책과제로 진행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intel 등에서 개발하고 있는 대역. 군사적으로는 미사일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응용됨.
7. X-band
주파수대역 : 8GHz ~ 12GHz
응용분야 : 군사목적용의 radar system 전용 주파수
특성 : 본격적으로 mm-Wave대역에 해당하며 주파수 특성이 phase detection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radar에 용이하게 적용가능.
8. 기타
(1) ITS : 77GHz
응용분야 : 자동차용 거리탐지기에 이용됨. 현재 독일의 벤츠에서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일종의 ITS 개념. 자신의 차량과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응용됨.
특성 : 기본적으로 전파가 200m 정도밖에 전달되지 않으며 우천시 더욱 짧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이때문에 오히려 차량용으로 좋은 특성을 갖고 있음.
(2) Pager : 110MHz, 330MHz
응용분야 : 표현 그래도 pager에 사용됨. (일명 삐삐라 불리웠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거의 서비스 중단 상태임)
'Develop+㈜ > - S.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할만한 영어사이트 (0) | 2014.09.16 |
---|---|
LTE관련 용어 정리 (0) | 2013.09.30 |
[공부] 우리나라 이동통신 주파수 특성 (0) | 2013.06.16 |
수의계약 [출처] 수의계약 | 두산백과 (0) | 2013.04.21 |
공공공사입찰제도 [출처] 공공공사입찰제도 | 두산백과 (0) | 201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