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박상돈 배영경 김다정 기자 = 국내 증권사와 경제연구기관들은 내년 한국 경제가 평균 연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외국 투자은행들(IB)보다는 약간 높지만 정부의 4% 전망보다는 한참 낮았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경제 성장률을 발표한 주요 증권사 10곳을 포함해 민간ㆍ국책연구기관 15곳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3.2%에 달했다.
증권사 10곳 중 가장 수치가 높은 곳은 3.6%를 제시한 미래에셋증권이고 뒤이어 현대증권(3.5%), 신한금융투자(3.4%), 우리투자증권(3.3%), 동양증권(3.3%), 한국투자증권(3.3%),메리츠종금증권(3.1%) 순이었다.
대우증권(2.9%), HMC투자증권(2.8%), 삼성증권(2.6%)은 2%대를 예상했다.
또 경제연구기관 중에서 현대경제연구원이 3.5%로 가장 높게 제시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 3.4%, LG경제연구원 3.3%, 한국경제연구원 3.3%, 금융연구원 2.8% 등이다.
주로 내년 성장률을 3%대 초ㆍ중반으로 제시했고 2%대로 다소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국내 증권사나 경제연구기관의 전망치는 외국 투자은행(IB)들보다는 다소 높은 편이다.
지난달 말 외국 IB 10곳이 전망한 한국의 내년 성장률은 평균 3.1%였고 이중 모건스탠리가 3.9%로 가장 높고 노무라가 2.5%로 가장 낮았다. BNP파리바(2.6%), BoA메릴린치(2.8%),도이체방크(2.8%)도 2%대를 예상했다.
국내 기관의 성장률 전망은 정부의 예상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정부는 내년 한국 경제가 4%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증권사 및 연구기관의 평균치인 3.2%와 비교해 0.8%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이 때문에 정부가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4% 성장은 말 그래도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기존 전망치가 너무 높다는 비판 속에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3.8%에서 3.2%로 낮췄다.
한국 경제가 내년 3%대 초반 성장에 머물 것으로 보는 이유는 세계 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고 내수 면에서 소비도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IB 11곳은 내년 세계경제가 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미국(1.8%)은 1%대 성장에 그치고 중국도 올해에 이어 내년(7.8%)에 다시 7%대 성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0.8%)은 0%대 성장에 그치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은 내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에서는 벗어나겠지만 0%로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또 국내 가계부채 문제, 부동산 침체가 심각해 내수 부문에서 소비가 단기간에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메리츠종금증권 박형중 투자전략팀장은 "내년 3%대 성장 전망도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며 "의미 있는 회복을 하려면 가계부실을 털어내고 공격적인 경기부양이 필요한데 지금 그런 형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 투자은행들(IB)보다는 약간 높지만 정부의 4% 전망보다는 한참 낮았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경제 성장률을 발표한 주요 증권사 10곳을 포함해 민간ㆍ국책연구기관 15곳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3.2%에 달했다.
대우증권(2.9%), HMC투자증권(2.8%), 삼성증권(2.6%)은 2%대를 예상했다.
또 경제연구기관 중에서 현대경제연구원이 3.5%로 가장 높게 제시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 3.4%, LG경제연구원 3.3%, 한국경제연구원 3.3%, 금융연구원 2.8% 등이다.
주로 내년 성장률을 3%대 초ㆍ중반으로 제시했고 2%대로 다소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국내 증권사나 경제연구기관의 전망치는 외국 투자은행(IB)들보다는 다소 높은 편이다.
지난달 말 외국 IB 10곳이 전망한 한국의 내년 성장률은 평균 3.1%였고 이중 모건스탠리가 3.9%로 가장 높고 노무라가 2.5%로 가장 낮았다. BNP파리바(2.6%), BoA메릴린치(2.8%),도이체방크(2.8%)도 2%대를 예상했다.
국내 기관의 성장률 전망은 정부의 예상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정부는 내년 한국 경제가 4%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증권사 및 연구기관의 평균치인 3.2%와 비교해 0.8%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이 때문에 정부가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4% 성장은 말 그래도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기존 전망치가 너무 높다는 비판 속에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3.8%에서 3.2%로 낮췄다.
한국 경제가 내년 3%대 초반 성장에 머물 것으로 보는 이유는 세계 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고 내수 면에서 소비도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IB 11곳은 내년 세계경제가 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미국(1.8%)은 1%대 성장에 그치고 중국도 올해에 이어 내년(7.8%)에 다시 7%대 성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0.8%)은 0%대 성장에 그치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은 내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에서는 벗어나겠지만 0%로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또 국내 가계부채 문제, 부동산 침체가 심각해 내수 부문에서 소비가 단기간에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메리츠종금증권 박형중 투자전략팀장은 "내년 3%대 성장 전망도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며 "의미 있는 회복을 하려면 가계부실을 털어내고 공격적인 경기부양이 필요한데 지금 그런 형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Human Dictionary > - 상식&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하락 (0) | 2012.11.13 |
---|---|
원자력 발전소 증설 찬반토론 (0) | 2012.11.13 |
(취업상식) 정장 올바르게 입는 법 :) (0) | 2012.11.08 |
(취업상식) 상사와 부하의 성격 궁합 :) (0) | 2012.10.26 |
스마트 쇼핑 카트 (0) | 201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