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ngle Smile Zone/- TodayFocus

우리나라 FTA에 대한 반대하는 수준... FTA 찬반 의견

by JoyKim 2011. 11. 23.
반응형

FTA에 여러 장단점이 있지만 !!

최소한 이런 계념으로.. 촛불을 드는 멍청한 국민..이

우리나라 국민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똑바로 알고 !!

공부도 좀 하고 !!

멍청하지 않게 국가에 정치에 대한

스스로의 참정권을 행사합시다!!

아 그리고 !!

어떤 멍청한 국회위원이 티비에서 풍자 조금했다고 고소야!!

아닌땐 굴뚝에서 연기 날까?

얼마나 찔리면 오바하냐 !!

나이는 먹을만큼 먹으셨으니 철좀 들읍시다.

그 국회위원에 그 국민...

상식으로 읽어보기 바랍니다.


구분

찬성 의견

반대 의견

무역ㆍ수출

경쟁력 측면

FTA 체결로 특허관세로 미국시장에서 중국 등에 비해 수출경쟁력(자동차, 섬유분야 등 수출 증대 기대)을 가질 수 있게 됨

* 무역의존도가 70%가 넘는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규모는 2006년 현재 전체 수출액 중 13.3% 차지

ㆍ미국이 서비스업, 농업은 물론 거의 전 제조업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취약한 산업분야의 경우 생산 감소 및 경쟁력 약화 가속화 우려

소비자 측면

ㆍ관세가 철폐되어 가격인하 효과가 발생하여 소비자들은 보다 낮은 가격으로 폭넓은 선택이 가능

ㆍ생산 감소 및 지적재산권 강화(농업 , 의약품 분야 등)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소비자 부담 증가

투자 및 고용

측면

ㆍ외국인 투자에 관한 제약을 대폭 줄여 투자유치가 늘고, 외국인 직접투자 증가로 고용창출 효과 기대

ㆍ농업 및 낙후 제조업 분야 등 노동의 구조조정으로 대량 실업자 양산우려 및 양극화 심화 논란 예상

제도 측면

ㆍ개방으로 인한 경쟁을 통해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되며 ‘제도의 선진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ㆍ초국적기업이 자신의 이윤 확보를 방해하는 정부의 법과 제도, 관행을 제3의 민간기구에 제소할 수 있게 하는 투자자-국가소송제(ISD) 도입시 각종 정책 불안정 우려

ㆍ한국경제의 미국 예속 우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