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orld Peace71

6.2 지방선거.. 드디어 때가 되었습니다. 항상 맘에 둔일들이 많습니다.뽑아만 노면 왜 대체 쌈질만하고 일은하지 않는지!좌파는 모고 우파는 몬지 !!그냥 눈에 볼때 분노한 것들!!참여해서 다배어 버립시다.!!그리고 다시 채워 넙시다.!! 2010. 4. 11.
삼성 반도체 백혈병 사건을 아시나요!! 삼성이 힘이 쌘것도..!!우리나라에서 최고의 기업인 것도 알겠습니다.하지만 .. 만약에 이 병에 삼성이 1%로라도 관여되 있다면.책임지는게 맞지 않겠습니까?무엇이 진실인지는 모르지만. 꼭 정의가 지켜지면 좋겠습니다.출처 : 야후 재미존. http://kr.fun.yahoo.com/NBBS/nbbs_view.html?bi=1201&mi=867605 2010. 4. 11.
헌혈 사랑은 나라사랑 ~ 헌혈 처음해본 아가씨 이야기 ~ 안녕하세요~ㅎㅎ저는 경기도에 사는 19살 여자입니당 ㅎㅎ처음으로 글을 쓰려니 왠지 떨리네요 ㅋㅋㅋㅋㅋ네! 제가 글을 쓰는 이유는요~ 드디어 첫! 헌혈을 한걸 자랑하고 싶어서에요!!! 그게 뭐 자랑거리냐 하시는분들도 계시겠지만,저는 정~말 헌혈이 하고싶었는데 항상 여건이 안되서 못했던 사람입니다 ㅜ_ㅜ맨 처음으로 헌혈 기회가 왔던건 고1 때였어요.학교에서 단체로 헌혈을 하는 날이었는데 전 그때 생일이 안되서 하지 못했지요 ㅜ_ㅜ친구들이 다 헌혈하는거 보고 어찌나 부럽던지..쩝..그렇게 생일이 빨리 지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차에!두번째 기회! 드디어 생일이 지나고 "아싸!!" 하고 헌혈을 하려했는데..생긴거랑 안어울리게 왠 철결핍성빈혈이라는 아이(?)가 발견? 되는 바람에..또 기회를 놓쳤지요 ㅜㅜ열심히 병원.. 2010. 4. 11.
아프리카 아이가 적은. 인종차별에 대한 메시지 ~ WHEN I BORN, I BLACK. 태어날 때부터 내 피부는 검은 색. WHEN I GROW UP, I BLACK. 자라서도 검은 색. WHEN I GO IN SUN, I BLACK. 태양아래 있어도 검은 색. WHEN I SCARED, I BLACK. 무서울 떄도 검은 색. WHEN I SICK, I BLACK. 아플 때도 검은 색. AND WHEN I DIE, I STILL BLACK. 죽을떄도 여전히 나는 한 가지 검은 색이랍니다. AND YOU, WHITE FELLOW, 그런데 백인들은요. WHEN YOU BORN, YOU PINK. 태어날 때는 핑크색이잖아요. WHEN YOU GROW UP, YOU WHITE. 자라서는 흰색. WHEN YOU IN SUN, YOU RED. 태양아래 있으면 빨.. 2010. 4. 6.
지구를 살리는 방법 Earth Hour 켐페인에 동참해 주세요! Earth Hour 공식홈페이지↓http://sites.google.com/a/earthhourkorea.org/earth-hour-korea/home/main전등끄기 운동은2007년 호주시드니에서 시작했구요2009년에는 공식적으로 88개국이 참여하는등 시간이지날수록 참여활동이 많아지고 있다고해요네이버말을 빌리자면'만약 전 인류가 한 시간 만이라도 지상의 모든 전등을 끈다면지구는 좀더 시원해지지않을까?' 라는 소박한 생각에서 출발한 운동이라고 해요.참여방법은 간단합니다3월 27일인 오늘.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한시간동안집안, 혹은 현재계신 장소의 모든 전등을 꺼주시면 됩니다'이는 책임감 있는 행동으로 참여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끌어 달라는 요청입니다. 유럽에서부터 아시아와 미대륙을 잇는 상징.. 2010. 4. 3.
북한 어린이들이 배우는 미군들의 이미지..!! 공산주의의 언론 통제의 무서움이 돋보인다. 2010. 3. 9.
동물학대를 상품으로 거는 항공사가 있습니다. 출처 : http://kr.fun.yahoo.com/NBBS/nbbs_view.html?bi=1201&mi=854261&page=만약 이런 항공사가 사실이라면 지탄받아야 될 것입니다. 2010. 2. 13.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구의 선택 - 소 빙하기~ 올 초 지구 북반구에는 지구온난화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폭설과 한파가 몰아쳤다. 1월5일 베이징 수은주는 영하 16도를 기록했다. 4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앞선 4일 서울에는 눈이 25.8cm 쌓였다. 적설량을 관측하기 시작한 1937년 이래 최고 기록이다. 이전까지는 1969년 1월28일에 내린 25.6cm가 최대량이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날씨가 화창해 ‘선샤인 스테이트(Sunshine State)’로 불리는 미국 플로리다 주도 한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플로리다 주에서 키우는 오렌지 나무 상당수가 냉해로 얼어 죽었다. 올해 플로리다 주의 오렌지 생산량은 30% 정도 감소할 전망이다. 미국 아이오와 주 애틀랜틱 시는 영하 29도를 기록해 1958년 이후 가장 추운 겨울을 보내.. 2010. 1. 31.
세상에서 버림받은 국가.. 아이티는 축복받은 나라.. 이미 국제사회에서 버림받았다. 정부라는게 있긴 있지만, 사실상 무정부 상태. 각양각색의 군벌(軍閥)들이 거의 매일마다 한 차례 이상 교전을 벌이는 나라. 교통 시스템이 존재하는 거의 모든 지구상의 국가에서 여행 금지국가로 지정됨. 그런 주제에 에리트리아에서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나라. 국경? 의미 없고 비자? 무정부 상태라 필요 없음. 전쟁이 한창 진행중인 동네보다 치안이 좋지 못함. 여행 필수품은 고성능 방탄복과 호신용 중화기 다수. 전기 충격기나 후추 스프레이 같은 호신용품은 애들 장난감 취급 당함. 여행을 위해 언어를 배울 필요는 없다. 어차피 대화를 할 사람도 거의 없으니까. 다만 무기로 대화할 준비는 필수. 여기서 죽으면 농담 안 하고 시체가 고국으로 돌아갈 확률은 0%. 클린턴 대통령 시.. 2010. 1. 27.
올바르지 못한 노원구청 동물의 왕국 호랑이 특별 기획전!! 강호를 구해주세요!! 제 이름은 '강호'예요. 저는 나이가 어려서 세상에 대해서 아직 잘 알지 못해요. 7개월 정도 밖에 살아보지 못했거든요. 그런데 저에게 요즘큰 시련이 닥쳤어요. 정확히 말해서 작년 12월 23일부터였죠. 처음에는 사람들이 저의 멋진 외모와 용맹한 성품을 추켜세워줘서 기분이 날아갈 것 같았어요. 모두가 올해는 너의 해가 될 거라며 너도 나도 제 이름을 입에 올렸거든요. 그때부터 일이 잘못되가고 있다는 걸알아챘어야했는데...저에게 닥친 시련이 뭐냐구요? 들으시면 아마 깜짝 놀라실 거예요. 전 요즘 2m 남짓의 공간에서만 생활해요. 생활이라고 하는 것도 말이 안 되네요. 그냥 갖혀 있어요. 자존심 상해서 이런 말까진 안하려고 했는데, 꼼짝 없이 '구속' 당하고 있는 거예요. 아무런 죄도 짓지 않았는데도 구청 .. 2010. 1. 23.
자신의 자식도 잡아먹기 시작한 북극곰... 극악의 온난화 현장 이 한장의 사진은 너무나 충격적인 사진인 것 만은 틀림없다. Scroll down for more... (Ursus maritimus‘s Cannibalism) Photo: Iain D. Williams 숫컷 북극곰이 새끼곰을 잡아 먹고 있는 충격적인 사진으로 새끼곰의 머리만 남은 부분을 입에 물고 있다. -- 도대체... 누가 이 책임을 져야하는가? -- 이 사진은 캐나다에서 300km 떨어진 북부 처칠 타운(Churchill)에서 November 20, 2009 촬영된 사진. Churchill is a town on the shore of Hudson Bay in Manitoba, Canada "지구 온실효과"로 북극권의 얼음은 급속이 소멸되고 있는 가운데 북극곰의 서식처도 급속히 그 범위가 줄어들어.. 2010. 1. 16.
광운대(성북역) 주위에 (강아지)개 잃어버리신 분 찾습니다. 저는 광운대학교 학생입니다.광운대 복지관에서 강아지 한마리가 밖에 떨고 있어서복지관 1층 건물 안으로 들여 놓았습니다.혹시라도 개를 잃어버린 분은 찾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사진은 아래에 첨부합니다. 개를 안에 넣은것에 대해무서워 하는 학우들에게 정말 죄송합니다.밖에 나두면 오늘 날씨에는 죽을 것 같아서 일단 넣어놓았습니다.개는 다가가서 살펴보니 앉아, 손 같은 명령도 잘 수행하고,물거나 짖지 않은 훌련 받은 개니 .. 큰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성북역 및 광운대 주변에서 개를 잃어버린 분은 광운대 복지관 1층에현재 위치하고 있으니 속히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2010. 1. 6.
반응형